|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완성한 HD 600용 케이블 Ⅱ
두 번째 케이블 제작의 계기
전에 Sennheiser HD 600의 번들 케이블이 단선되어 그 기회에 별도의 전용 케이블을 만들었는데 그 무게와 두꺼움, 뻣뻣함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새로운 케이블을 만들기가 번거로워 아쉬움을 달래며 그 불편함을 감내하기만 했는데 어느 날 귀찮음을 무릅쓰고 새로운 케이블을 만들게 되는 하나의 계기가 생겼다. 하스의 김상록님이 HD 600 핀 커넥터 몸통 용 형틀을 만들었으며, 내게 단자처리를 해주시겠다고 한 것이다.
솔직히 글루건으로 핀 커넥터 몸통을 만든 것에 불만은 없었지만 사용한 케이블의 무게와 굵은 두께, 뻣뻣함 때문에 이 기회에 새로 케이블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물론 형틀을 이용한 커넥터 몸통에 대한 호기심도 한 몫했다.
재료의 선택
HD 600용 케이블 만들기에서 가벼운 케이블에 대한 접근 방식은 2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하스의 최한솔님이 제안한 방식으로 4심 마이크 케이블의 외피를 벗겨 무게를 줄이고 익스펜더를 입히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처음부터 가벼운 4심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다.
내가 선택한 것은 두 번째 방식으로 꼭 4심 마이크 케이블을 사용해야한다는 인식만 바꾸면 고를 수 있는 폭이 넓어진다. 가볍고 얇으며 부드러운 재질의 4심 선재를 찾고자 했으나 아쉽게도 그런 선재는 발견하지 못했다. 그런 선재가 유무를 좀 더 알아볼 필요가 있었지만 바빴던 때라 쉽게 구할 수 있는데 초점을 맞췄다. 그래서 차선책으로 가볍고 얇은 4심 선재를 택했는데, 벨덴 8723이 그것이다. 구체적인 스펙을 염두에 두고 고른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오디오용으로 제작된 선재이며, 주석도금 된 구리 전도체와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절연체, 트위스트된 페어 구조, 페어별로 차페율이 100%인 독립된 실드를 갖췄고, 상대적으로 다른 4심 선재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점이 마음에 들었다.
특히 페어별로 독립된 실드를 갖추고 있어 HD 600 같이 좌우로 선이 나눠지는 헤드폰에서 실드를 핀 커넥터 부위까지 입힐 수 있는 점은 하나의 실드만을 갖고 있는 다른 보통의 4심 선재에 비해서 큰 장점이다. 일반적인 4심 마이크 케이블을 이용해 헤드폰 케이블을 만들 경우 선이 나눠지는 부분부터 좌/우의 커넥터까지의 실드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실드가 고정배선용 선재에서 주로 사용되는 랩(Foil) 방식이라서 유연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는데, 그로 인한 뻣뻣함이 이 선재에서 유일하게 마음에 들지 않는 점이다.
익스펜더는 케이블의 외피의 색-약간 짙은 회색이 맘에 안 들어 씌웠다. 케이블 외피에 먼지가 달라붙거나 때 타는 것을 피하는 것은 부수적인 효과이다.ㅋㅋ
땜납은 WBT 은납을 사용했다. 성능(?)을 체감할 수 있는 것은 아닌지만 소모되는 땜납의 양이 많지 않고 심리적인 만족감을 얻을 수 있기에 썼다.
만들기
선재는 2조 페어선으로 분리되어 있고 각기 별로 독립된 실드를 갖추고 있어 실드를 핀 커넥터 부위 끝까지 씌워 주었다.
익스펜더를 입힐 때 대만산 플러그의 선재 휨 방지용 스프링 부분의 내경이 좁아서 좀 고생했다. 맨 선재만으론는 여유로웠는데 익스펜더를 입히니까 집어 넣기가 상당히 힘들었기 때문이다.
USB Audio CODEC(PCM2902) + Headphone Amp (1) | 2007.01.06 |
---|---|
USB Audio CODEC(PCM2902) (2) | 2007.01.05 |
저렴하면서 쓸만한 디지털 테스터(멀티미터) - FLUKE 8050A (1) | 2006.12.24 |
중국제 저가형 디지털 테스터(멀티미터)의 한계 (1) | 2006.11.29 |
Sennheiser HD 600 용 케이블 Ⅰ (1) | 2006.10.07 |
완성한 HD 600용 케이블
HD 600용 핀 커넥터
뉴트릭 55 스테레오 플러그
글루건으로 직접 제작한 핀 커넥터용 몸통
Sennheiser HD 600 용 케이블 Ⅱ (3) | 2006.12.28 |
---|---|
저렴하면서 쓸만한 디지털 테스터(멀티미터) - FLUKE 8050A (1) | 2006.12.24 |
중국제 저가형 디지털 테스터(멀티미터)의 한계 (1) | 2006.11.29 |
처음으로 만들어본 인터 커넥터 - 누렁이(골드 드래곤?) (1) | 2006.10.07 |
DC필터 - 트랜스의 울림을 잡아라! (1) | 2006.08.13 |
제작년에 만든 인터커넥터 '골드 드래곤'이다. 부모님이 쓰시는 CDP와 앰프를 연결할 목적으로 만들었다.
학교에서 기가비트 전산망 구축작업을 하면서 버려진 선재를 사용해서 만들었다. THICKNET 케이블이라고 해서 원래는 데이터 전송용 랜케이블이지만 임피던스-50Ω-나 선재 구조-동축-를 볼 때 인터커넥터용 케이블로 쓰기에 무리가 없을 것이란 판단에 과감하게 인터커넥터용으로 사용해보았다.
THICKNET 케이블의 내부 구조와 스펙
* 적용표준: IEEE 802.3 10 Base-5 * 인증규격: UL TYPE CL2 60℃ . AWM 1478 30V 60℃ * 표준조장: 500m |
![]() |
제품번호 | 구 조 | 전기적 특성 | |||
도체규격 | 절연재질 및 외 경 | 차폐재질 및 구성 | 자켓재질 및 외 경 | ||
C4611 | 12AWG (1/2.17mm) 나연동선 | 발포 PE 6.51mm | AL/PS 테이프+ 93%차폐 석도금선 편조 AL/PS/AL테이프+ 90%차폐 석도금선 편조 | PVC 10.46mm | *전파속도:약76% *특성임피던스:50Ω *정전용량:약 85 pF/m *감쇄량 1 MHZ:약 0.62dB/100m 5 MHz:1.20 10 MHz:1.70 |
무엇보다 마음에 든 것은 4중 실드 구조로 차폐가 뛰어나고 절연체가 테프론 다음으로 좋은 평가를 받기도 하는 PE(폴리에틸렌)이라는 점이다.
사용한 RCA 프러그의 품질이 아쉬운데 저 굵기(12AWG)의 선재를 커버할 수 있는 단자를 시중에 쉽게 구할 수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사용했다. 그나마 가장 큰 단자인데도 THICKNET 케이블이 들어갈 수 있도록 구멍을 넓혀야 했을 정도이다.
저 케이블의 경이적인 굵기와 노란 외피를 부각시키기 위해서 '골드 드래곤'이란 거창한 이름을 붙였는데 동생이 보더니 한마디 했다. "누런 뱀같은데 그냥 '누렁이'로 부르는 것이 낫겠다."라고... 그 뒤로 이녀석의 이름은 '누렁이'가 되었다.
음질은 기존에 쓰던 막선과 비교하여 특별히 차이를 느낄 수 없을 정도이다. 기분상 소리가 풍성해진 것 같은데 기분은 기분일 뿐이니까... 그런데 결정적으로 부모님은 이렇게 케이블 만들어 드렸는데도 막선을 사용하던 전과 별 차이 없으며 소리가 어떻다는 것은 신경 안 쓴다고 하신다. --;
이야기를 복잡하게 헀지만 가벼운 마음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복잡하게 따지기보다는 그냥 편하게 생각한다. 만드는 과정을 즐겼다는 것과 케이블의 굵기에서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낀다는 점에서 만든 보람은 있었다고 생각한다.
Sennheiser HD 600 용 케이블 Ⅱ (3) | 2006.12.28 |
---|---|
저렴하면서 쓸만한 디지털 테스터(멀티미터) - FLUKE 8050A (1) | 2006.12.24 |
중국제 저가형 디지털 테스터(멀티미터)의 한계 (1) | 2006.11.29 |
Sennheiser HD 600 용 케이블 Ⅰ (1) | 2006.10.07 |
DC필터 - 트랜스의 울림을 잡아라! (1) | 2006.08.13 |
루시엘's Blog is powered by Daum & Tattert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