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 - 해당되는 글 3건

완성한 HD 600용 케이블 Ⅱ

완성한 HD 600용 케이블 Ⅱ


두 번째 케이블 제작의 계기

전에 Sennheiser HD 600의 번들 케이블이 단선되어 그 기회에 별도의 전용 케이블을 만들었는데 그 무게와 두꺼움, 뻣뻣함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새로운 케이블을 만들기가 번거로워 아쉬움을 달래며 그 불편함을 감내하기만 했는데 어느 날 귀찮음을 무릅쓰고 새로운 케이블을 만들게 되는 하나의 계기가 생겼다. 하스의 김상록님이 HD 600 핀 커넥터 몸통 용 형틀을 만들었으며, 내게 단자처리를 해주시겠다고 한 것이다.

솔직히 글루건으로 핀 커넥터 몸통을 만든 것에 불만은 없었지만 사용한 케이블의 무게와 굵은 두께, 뻣뻣함 때문에 이 기회에 새로 케이블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물론 형틀을 이용한 커넥터 몸통에 대한 호기심도 한 몫했다.


재료의 선택

HD 600용 케이블 만들기에서 가벼운 케이블에 대한 접근 방식은 2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하스의 최한솔님이 제안한 방식으로 4심 마이크 케이블의 외피를 벗겨 무게를 줄이고 익스펜더를 입히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처음부터 가벼운 4심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다.

내가 선택한 것은 두 번째 방식으로 꼭 4심 마이크 케이블을 사용해야한다는 인식만 바꾸면 고를 수 있는 폭이 넓어진다. 가볍고 얇으며 부드러운 재질의 4심 선재를 찾고자 했으나 아쉽게도 그런 선재는 발견하지 못했다. 그런 선재가 유무를 좀 더 알아볼 필요가 있었지만 바빴던 때라 쉽게 구할 수 있는데 초점을 맞췄다. 그래서 차선책으로 가볍고 얇은 4심 선재를 택했는데, 벨덴 8723이 그것이다. 구체적인 스펙을 염두에 두고 고른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오디오용으로 제작된 선재이며, 주석도금 된 구리 전도체와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절연체, 트위스트된 페어 구조, 페어별로 차페율이 100%인 독립된 실드를 갖췄고, 상대적으로 다른 4심 선재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점이 마음에 들었다.

특히 페어별로 독립된 실드를 갖추고 있어 HD 600 같이 좌우로 선이 나눠지는 헤드폰에서 실드를 핀 커넥터 부위까지 입힐 수 있는 점은 하나의 실드만을 갖고 있는 다른 보통의 4심 선재에 비해서 큰 장점이다. 일반적인 4심 마이크 케이블을 이용해 헤드폰 케이블을 만들 경우 선이 나눠지는 부분부터 좌/우의 커넥터까지의 실드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실드가 고정배선용 선재에서 주로 사용되는 랩(Foil) 방식이라서 유연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는데, 그로 인한 뻣뻣함이 이 선재에서 유일하게 마음에 들지 않는 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테레오 플러그는 선재가 얇은 터라 55밀리가 아닌 35밀리 짜리를 썼다. 금도금된 대만산 플러그인데 선재 고정용 스프링 부분의 내경이 좁다는 것 외에 큰 불만은 없다.

익스펜더는 케이블의 외피의 색-약간 짙은 회색이 맘에 안 들어 씌웠다. 케이블 외피에 먼지가 달라붙거나 때 타는 것을 피하는 것은 부수적인 효과이다.ㅋㅋ

땜납은 WBT 은납을 사용했다. 성능(?)을 체감할 수 있는 것은 아닌지만 소모되는 땜납의 양이 많지 않고 심리적인 만족감을 얻을 수 있기에 썼다.


만들기

선재는 2조 페어선으로 분리되어 있고 각기 별로 독립된 실드를 갖추고 있어 실드를 핀 커넥터 부위 끝까지 씌워 주었다.

익스펜더를 입힐 때 대만산 플러그의 선재 휨 방지용 스프링 부분의 내경이 좁아서 좀 고생했다. 맨 선재만으론는 여유로웠는데 익스펜더를 입히니까 집어 넣기가 상당히 힘들었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 플러그에 선재를 납땜할 때 플러그 몸통을 미리 넣고 작업하지 않았고 다 납땜한 뒤에야 그 사실을 뒤늦게 깨닫게 됐다.ㅠ.ㅠ 눈물을 머금고 선재를 잘라내고 몸통을 먼저 넣은 뒤에 다시 납땜했다. 케이블 작업할 땐 수축 튜브나 플러그 몸통을 꼭 먼저 넣은 뒤에 작업해야 한다. 작업 다 해놓고 알게 되면 정신적인 타격이 크다.

핀 부분을 납땜할 때 왼쪽 커넥터의 접지 핀쪽이 아주 약간 짧게 납땜되었는데 이 부분은 단자처리할 때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범위라 생각되어 그냥 넘어갔다. 하지만 나중에 이 때의 안이함에 대한 대가를 크게 치루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좌우로 나눠지는 부분은 보형물을 추가하여 서로 가까이 붙지 않게 만들었다.

그렇게 만든 케이블을 하스의 김상록님이 커넥터 몸통을 만들어 주셨다. 내가 전에 만들었던 커넥터 몸통은 헤드폰을 직접 형틀로 하고 글루건을 재료로 하는 방식, 즉 HD 600의 연결 부위에 녹인 글루건을 집어 넣은 후 굳은 뒤에 빼내는 방법이었다. 김상록님의 방법은 더 진보한 방식이라 할 수 있는데, 자동차용 레진을 이용해 적접 형틀을 제작하고 거기에 플라스틱 퍼티를 넣어서 굳혀 몸통을 만드는 방식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플라스틱 퍼티의 원래 색은 짙은 하늘색인데, 김상록님이 페인트를 발라 색을 입혀놓으셨다. 작은 플라스틱 조각에 불과하지만 HD 600 케이블을 직접 제작해본 사람이라면 이 감동을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최문협님의 핀 제작부터 김상록님의 커넥터 몸통제작까지 어느 것 하나 쉽게 이뤄진 것은 없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플라스틱을 굳힌 것이라 그런지 상당히 딱딱해서 그 견고한 느낌이 말랑말랑한 글루건과는 비교가 힘들 정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치 번들 케이블처럼 HD 600과 잘 어울린다.


약간의 문제점과 해결방법

이제 끝났다고 마냥 좋아했는데 케이블을 사용한 지 하루가 지나지 않아 오른쪽 커넥터 몸통의 선재 고정 부위가 떨어져 나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퍼티가 선재에 얇게 입혀진 부분이 케이블의 뒤틀림을 감당하지 못했던 것 같다. 아마도 몸통을 굳히는 과정에서 선재가 중심을 약간 이탈한 상태에 있어 한쪽에 퍼티가 얇게 입혀졌을 것이라 추정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서 글루건을 이용해 보강해주기로 했다. 만만한 것이 글루건이다.^^;; 깨진 것은 오른쪽뿐이었지만 왼쪽도 만약을 대비해 작업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지막은 역시 수축 튜브다. 커넥터 작어을 하기 전에 수축 튜브를 끼워 놓았다면 편했을 텐데, 사후에 입히느라 수축 튜브를 한참 늘린 뒤에야 간신히 입힐 수 있었다. 만약을 대비해 2번 입혀 주었다.


이제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 같았다. 하지만 쓰다가 다른 문제를 발견했는데, 왼쪽이 가끔 소리가 안 나오거나 왼쪽 커넥터가 잘 빠지는 것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문제의 원인은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저렇게 핀이 한쪽에 치우치고 기울어진 상태였다. 김상록님이 공들여 작업해주신 커넥터 몸통이라 재작업하기가 아깝다는 생각에 그냥 넘어갈까도 생각해봤지만 불편함을 참을 수 없어 다시 손을 보기로 했다.

또 다시 김상록님께 부탁드려볼까도 생각해 봤지만 한 쪽만이라면 손 쉽게 고칠 수 있으리란 생각이 들었다. 커넥터를 부숴 보니 왜 핀이 기울었는지 알 수가 있었는데, 케이블 제작하면서 핀에 납땜을 할 때 접지쪽 핀에 납땜한 선이 시그널 쪽에 비해서 약간 짥게 된 것 때문이었다. ㅠ.ㅠ
 
결국 다시 한 번 글루건 신공(?)을 사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전과는 달리 전처럼 헤드폰의 커넥터 장착 부위에 글루건을 넣어 굳히는 방식이 아니라 HD 600에 장착되는 핀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글루건을 조금씩 덧붙이고 굳히는 방식으로 만들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루건을 덧붙이고 굳힌 뒤에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몇 번 반복한 끝에 성형(?)을 완료할 수 있었다. 나름대로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지만 전에 했던 방식보다는 편한 것 같다.

글루건이 말랑말랑한 재질이라 강도나 경도면에서 불안해서 수축 튜브를 입혀주었더니 일반적인 사용에 지장이 없을 정도가 되었다. 아쉬운 점은 이번에도 수축 튜브를 미리 끼워놓지 않아서 짧게 2번 나눠서 입히는 바람에 깔끔하지 않다는 점이다.


이로써 Sennheiser HD 600 용 두 번째 케이블 작업이 완료(?)되었다. 물론 나중에 어떤 계기가 있다면 그때는 좀 더 깔끔하게 마무리할 생각은 갖고 있다. 아쉬운 점이 많지만 지금 당장은 더이상 손대지 않으려고 한다. 귀찮기도 하고.^^;

이제는 음악 듣는데 더 집중해야지.^^

      DIY(오디오…)  |  2006. 12. 28. 13:35




개인적으로 오디오를 즐기면서 케이블에 많이 투자하는 것을 꺼리는 편이다. 오디오 실용론을 깊이 신봉하기 때문이라기보다는 경제적인 이유가 가장 크고, 다음으로 아주 솔직하게 이야기하건데 케이블을 바꿨을 때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값비싼 케이블에 관심을 갖지 않으려 하고, 여유가 있어도 오디오 케이블이 그다지 끌리지 않는다.

이러한 취향에는 기본적으로 나의 청각과 소리의 평가과정에 대한 다소 부정적인 인식이 깔려있다. 소리의 평가가 몸의 상태나 기분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는 점과 청각 그 자체로 평가하기 보다는 다른 정보-케이블의 외양이나 구조나 심선의 두께, 재질, 브랜드 혹은 다른 사람들의 평가나 가격대 등에 많은 영향을 받아가며 평가를 한다는 점을 스스로 의식하기 때문에 케이블에 대한 각종 찬사나 화려한 스펙, 계측기로 측정한 결과 등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게 되었다.

그렇지만 케이블에 무관심하지는 않은데 오디오 마니아처럼 케이블에 큰 가치를 부여하지 않을 뿐 액세서리로 관심은 갖고 있다. 그리고 이런 나의 관심은 케이블 바꿈질이 아니라 기존에 쓰던 케이블을 바꿔야 하는 상황에 처할 경우 보다 믿음을 주는 것으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표출된다.

지금 소개하는 HD 600 용 케이블도 이러한 맥락에서 만들게 되었다. HD 600의 번들 케이블의 오른쪽이 어느날 갑자기 단선된 것이다. 그것도 선의 중간 부위가 끊긴 것이 아니라 핀커넥터 근처가 단선되어 고치기가 좀 난감했다. 그래서 케이블을 아예 새로 만들어 버렸다.

완성한 HD 600용 케이블

완성한 HD 600용 케이블



HD 600용 케이블 제작에 있어 가장 핵심이 되는 핀 커넥터는 전에 하스(헤드폰 앰프 스테이션)의 회원인 최문협님에게 선물로 받았다. 아마 이것이 없었다면 새로 만드는 것 자체를 생각해보지도 않았을 것이다.
HD 600 핀 커넥터

HD 600용 핀 커넥터

핀 커넥터는 황동 재질에 니켈+금도금 되었다. 얼핏 보면 같은 핀으로 보이지만 윗쪽의 굵은 핀은 접지용이고, 아랫쪽의 얇은 핀은 신호용으로 구분된다. 국내의 케이블 업체인 '마이 케이블'에서 전에 이런 핀을 만들고자 시도했다가 너무 핀의 두께가 얇아 포기했다고 하는데, 업체에서도 포기한 핀 제작을 이렇게 해낸 최문협님의 대단한 노력에 감탄을 금할 수 없다.

다음으로 중요한 선재는 벨덴 1192A를 사용했다. 쿼드스타 구조의 4심선과 PE(폴리 에틸렌) 절연체, 주석도금된 실드, PVC 외피의 이 선재는 마이크 케이블용으로 주로 쓰이며 전반적으로 평이 좋다. 처음에는 카나레 L-4E6ATG과 벨덴 1192A를 놓고 고민했는데, L-4E6ATG는 선재가 무척 부드러운 점이 마음에 들었지만 외피가 두꺼워 1192A보다 무거워 망설여졌고, 1192A는 상대적으로 좀 뻣뻣한 느낌이 들었지만 외피가 얇아 가벼웠기 때문에 1192A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뉴트릭 55 스테레오 플러그

뉴트릭 55 스테레오 플러그

55 스테레오 플러그는 뉴트릭 단자(블랙)를 썼다. 금도금된 다른 플러그도 있었지만 뉴트릭이란 브랜드의 신뢰도와 검은색이 선택의 주요인이다.

익스펜더는 케이블 외피에 먼지가 달라붙거나 때 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씌웠다.

땜납도 신경을 써서 카다스 은납을 사용했다. 체감할 수 있는 향상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양이 소모되는 작업이 아닌데다 심리적인 기쁨(?)을 얻을 수 있기에 과감히 투입했다.

만들면서 어려웠던 점은 핀이 헤드폰에 장착되고 나면 걸려서 잘 빠지지 않는 것이었다. 그 때문에 납땜한 선재가 핀을 끼우고 빼다가 여러 번 끊어져 버렸다. 그래서 핀의 끝 부분의 볼록한 부분을 사포로 핀 장착 시 어느정도 걸리면서도 보다 수월히 착탈가능할 정도로 살짝 갈아버렸다.

내가 만든 완성한 HD 600용 케이블에서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핀에 직접 심선을 연결한 것과 직접 만든 핀 부분의 몸통이다. 지금까지 만들어진 대부분 완성한 HD 600용 자작 케이블은 기존의 번들 케이블의 핀 단자 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기존의 선에 새로운 선을 잇는 방식으로 만들어졌거나, 예전에 '마이케이블'이란 케이블 업체에서 HD 600용 케이블을 개조한 것처럼 핀에 직접 심선을 연결하고 수축튜브를 여러 겹으로 감싸는 식으로 몸통을 대체한 것이다. 전자는 선재를 완전히 교체하지 않고 기존의 선에 잇기 때문에 기분상 찝찝하고, 후자는 잦은 착탈 시 자주 몸통 부분의 선이 끊어지거나 납땜 부분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글루건으로 직접 제작한 핀 커넥터용 몸통

핀에 직접 심선을 연결하는 것과 핀을 고정하는 몸통을 위해서 처음에는 기존 번들 케이블의 핀과 플라스틱 몸통을 재활용하고자 했는데 핀은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번들 케이블의 몸통은 너무 크기가 작아 개조용 선재의 심선을 넣을 수 없었다. 핀에 직접 심선을 납땜하는 것은 최문협님이 선물해준 핀 덕분에 보다 쉽게 해결이 되었는데 몸통이 문제였다. 그래서 고안한 것이 글루건(핫멜트)이다. 접착제로 많이 쓰이는 글루건은 뜨거울 때는 유동성이 있으나 식으면 굳는 성질이 있다. 굳은 뒤에 완전히 경화되는 것은 아니지만 약간 말랑말랑한 상태로 형태가 유지되며 강한 힘을 가하면 늘어나다가 끊어진다. 이런 글루건의 특성을 이용하여 직접 몸통을 만들었다. 핀을 헤드폰에 꽂은 상태에서 글루건으로 그 빈틈을 메워서 굳힌 뒤에 꺼내는 방법이다. 접착제인 글루건 때문에 빼내는 것이 불가능할 것 같지만 말랑말항한 성질 덕분에 수월하지는 않지만 가능하다.



몸통의 성형을 끝낸 뒤에는 핀 커넥터 연결 부분은 검은색과 빨간색 수축 튜브로 좌/우를 구분해주었다.

어찌 보면 제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소리의 변화는 번들 케이블에 비해서 소리가 좀 더 맑고 풍성해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정도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소리 자체보다는 다른 조건에 의해서 이 케이블을 더 좋다고 평가하게 된다. 이는 HD 600 번들 케이블의 부심할-OFC가 사용되었다고 광고는 하지만 그 두께의 얇음에서 기인하는-  때문에 더욱 부각되는데 기본적으로 케이블이 두꺼우며 이름있는 메이커의 것이고, 단자도 고가는 아지만 나름대로 유명한 것이고, 익스펜더를 씌워서 보기 좋다는 점이 이 케이블로 듣는 소리를 기분상 더 좋게 들리게 하는데 일조한다.

이번에 만든 케이블에 2가지 아쉬움을 느끼는데, 첫 번째는 케이블의 무거움이고, 두 번째는 케이블의 뻣뻣함이다. 나름대로 다른 4심 마이크 케이블보다는 가볍지만 번들 케이블에 비해선 여전히 무거우며 뻣뻣하다. 이런 것들은 헤드폰으로 음악을 듣는데 쾌적한 음악 감상을 저해하는 요인이다. 다음에는 더 가볍고 유연한 케이블을 구해서 만들어 봐야겠다.

사실 내가 케이블에 가장 의미를 두는 부분은 만드는 재미다. DIY의 의미를 상기해보면 너무 뻔한 말 같지만 소리가 어떻고 혹은 내가 케이블을 어떻게 생각하는 가, 노력의 결과를 떠나서 케이블을 만드는 과정이 즐거웠다. 비록 그 과정이 수고스럽고 때론 실패를 겪기도 하지만 무엇인가를 자기 손으로 만들어가는 행위 자체가 큰 즐거움이다. ^^
      DIY(오디오…)  |  2006. 10. 7. 23:14





제작년에 만든 인터커넥터 '골드 드래곤'이다. 부모님이 쓰시는 CDP와 앰프를 연결할 목적으로 만들었다.

학교에서 기가비트 전산망 구축작업을 하면서 버려진 선재를 사용해서 만들었다. THICKNET 케이블이라고 해서 원래는 데이터 전송용 랜케이블이지만 임피던스-50Ω-나 선재 구조-동축-를 볼 때 인터커넥터용 케이블로 쓰기에 무리가 없을 것이란 판단에 과감하게 인터커넥터용으로 사용해보았다.


THICKNET 케이블의 내부 구조와 스펙




* 적용표준: IEEE 802.3 10 Base-5
* 인증규격: UL TYPE CL2 60℃ . AWM 1478 30V 60℃
* 표준조장: 500m

제품번호
구 조
전기적 특성
도체규격
절연재질
및 외 경
차폐재질 및 구성
자켓재질 및 외 경
C4611
12AWG
(1/2.17mm)
나연동선
발포 PE 6.51mm
AL/PS 테이프+
93%차폐 석도금선 편조
AL/PS/AL테이프+
90%차폐 석도금선 편조
PVC 10.46mm
*전파속도:약76%
*특성임피던스:50Ω
*정전용량:약 85 pF/m
*감쇄량
1 MHZ:약 0.62dB/100m
5 MHz:1.20
10 MHz:1.70

출처: 대륙전선


무엇보다 마음에 든 것은 4중 실드 구조로 차폐가 뛰어나고 절연체가 테프론 다음으로 좋은 평가를 받기도 하는 PE(폴리에틸렌)이라는 점이다.

사용한 RCA 프러그의 품질이 아쉬운데 저 굵기(12AWG)의 선재를 커버할 수 있는 단자를 시중에 쉽게 구할 수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사용했다. 그나마 가장 큰 단자인데도 THICKNET 케이블이 들어갈 수 있도록 구멍을 넓혀야 했을 정도이다.

저 케이블의 경이적인 굵기와 노란 외피를 부각시키기 위해서 '골드 드래곤'이란 거창한 이름을 붙였는데 동생이 보더니 한마디 했다. "누런 뱀같은데 그냥 '누렁이'로 부르는 것이 낫겠다."라고... 그 뒤로 이녀석의 이름은 '누렁이'가 되었다.

음질은 기존에 쓰던 막선과 비교하여 특별히 차이를 느낄 수 없을 정도이다. 기분상 소리가 풍성해진 것 같은데 기분은 기분일 뿐이니까... 그런데 결정적으로 부모님은 이렇게 케이블 만들어 드렸는데도 막선을 사용하던 전과 별 차이 없으며 소리가 어떻다는 것은 신경 안 쓴다고 하신다. --;

이야기를 복잡하게 헀지만 가벼운 마음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복잡하게 따지기보다는 그냥 편하게 생각한다. 만드는 과정을 즐겼다는 것과 케이블의 굵기에서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낀다는 점에서 만든 보람은 있었다고 생각한다.

      DIY(오디오…)  |  2006. 10. 7. 22:26



루시엘's Blog is powered by Daum & Tattertools